공지사항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댓글 내용을 남겨주세요. 최대 글자수를 초과하였습니다. 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권한이 없습니다.

(2023.12.04) "교육전담간호사, 업무 만족하지만…지원·보상 부족". 청년의사.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23.12.08
  • 조회수 : 391

(2023.12.04) "교육전담간호사, 업무 만족하지만…지원·보상 부족". 청년의사.


이화여대 연구팀 국공립병원 교육전담간호사 사업 조사

업무 만족도↑…보상, 업무량, 전용 강의실 등 시설 ↓

"교육전담인력 역할, 배치 기준 세우고 교육 수가 신설해야"


교육전담간호사들이 느끼는 업무 만족도에 비해 이에 대한 지원과 보상이 부족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에 지원체계를 마련하려면 간호교육에 대한 수가 신설 등 보상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다.

이화여대·부산가톨릭대·동남보건대 간호학과 연구팀은 지난 2019년부터 2022년까지 국공립병원 교육전담간호사 지원사업의 평가보고서를 분석한 결과를 이화여대 이화간호과학연구소 학회지에 최근 발표했다.

국공립병원 교육전담간호사 지원사업은 지난 2019년부터 시행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간호사의 교육과정을 기획·총괄하는 '유형1' 교육전담간호사와 신규간호사의 임상 교육과 평가 등 프리셉터 역할을 하는 '유형2' 현장교육간호사가 있다.

연구팀은 지난 2019년부터 2022년까지 3년간 교육전담간호사 지원사업(1형)에 참여한 국공립병원이 제출한 자체평가보고서와 평가 증빙자료를 분석했다.

각 연차별 사업참여기관은 1차 연도 52개소, 2차 연도 50개소, 3차 연도 70개소였으며 3개년 모두 사업에 참여한 기관은 총 48개소였다. 이 중 원자료의 대상자였던 교육전담간호사는 1차 연도 130명, 2차 연도 108명, 3차 연도 125명이었다.

분석 결과 교육전담간호사들은 업무에 만족하고 있었지만 이에 따른 업무량과 업무 시간, 보상 등에서는 만족도가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는(4점 만점) 1차 연도 3.40점, 2차 연도 3.38점, 3차 연도 3.44점 등 평균 3.40점으로 전반적으로 높게 유지됐다. 그 중 업무로 인한 현장의 변화에 대한 만족도가 3.48점, 3.47점, 3.49점으로 특히 높았다.

교육업무에 대한 기관의 중요성 인식 항목에서는 1차·2차 연도 3.26점, 3차 연도는 3.42점으로 높았지만 업무의 적절성은 1차 연도 2.82점, 2차 연도 2.96점, 3차 연도 2.84점으로 비교적 낮았다. 업무량과 업무시간에 대한 만족도 또한 1차 연도 2.82점, 2차 연도 2.96점, 3차 연도 2.84점이었다.

교육 자원에 대한 만족도도 낮았다. 업무환경과 지원 항목의 만족도는 1차 연도 2.99점, 2차 연도 2.96점, 3차 연도 3.12점이었다. 특히 교육자원에 대한 만족도가 1차 연도 2.80점, 2차 연도 2.60점, 3차 연도 2.88점으로 전체 만족도 세부 항목 중 가장 낮았다.

사업에 대한 지원의 중요도와 필요성 조사에선 교육전담간호사들은 인력 충원과 업무에 대한 보상, 전용 교육 공간 등이 필요하다고 했다.

3차 연도에 참여한 70개 기관에서 간호교육체계 운영에 대한 지원 중요도를 조사한 결과(10점 만점), 지원 중요도 평균은 8.2점이었다. 그중 교육전담인력 충원과 역량 강화가 9.44점, 교육전담인력에 대한 이해가 9.20점으로 가장 높았다. 필요도에 대한 인식은 교육 업무에 대한 보상이 7.55점으로 가장 높았다.

교육을 위한 시설과 기자재 확보와 관련해서는 기관 지원의 중요도가 모두 9.0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중 간호교육전용 실습실이 9.60점, 강의실 9.43점으로 높은 점수가 나왔다. 개선 필요도는 모든 항목에서 6.0점 이상이었으며 간호교육 전용 실습실이 7.92점으로 가장 높았다.

연구팀은 “교육전담간호사 지원사업의 안정적인 지원 체계를 구축하려면 교육전담인력의 배치 기준을 법제화하고 의료질평가, 상급종합병원 지정 등에 교육전담인력 배치 항목을 포함해야 한다”며 “또한 간호교육에 대한 수가를 신설해 역할 범위를 명확하게 정의하고 보상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의료기관 차원에서 교육전담인력의 처우 개선, 교육기회에 대한 지원 확대, 정서적 지지 제공, 교육공간과 기자재 구비를 위한 예산 편성 등의 협조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기사원문: "교육전담간호사, 업무 만족하지만…지원·보상 부족" :: 청년의사 :: docdocdoc.co.kr

김주연 기자

다음글 (2023.12.18) “의료 인력 부족으로 PA 간호사 증가”. 대구신문.
이전글 (2023.11.21) "요양시설 간호사에 의료행위 확대하고 촉탁의 의료수가 개선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