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댓글 내용을 남겨주세요. 최대 글자수를 초과하였습니다. 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권한이 없습니다.

(2022.09.13)간호등급제 실효성 제고 위해 간호 인력 배치 기준 상향 필요. 청년의사.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22.09.19
  • 조회수 : 518

(2022.09.13)간호등급제 실효성 제고 위해 간호 인력 배치 기준 상향 필요. 청년의사.


상종 간호관리자 80.6%, 간호사 89.7% “배치 수준 적정하지 않아”

간호등급제 1등급 기준 ‘근무조별 간호사 1인당 환자 수’ 6명 제안

"일부 종합병원 간호필요도 높아…상종과 동일한 배치 등급 적용해야"


‘간호관리료 차등제(간호등급제)’의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해 간호 인력 배치 기준을 상향 조정하고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의 등급을 통일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서울대 간호대학 연구팀은 최근 이같은 내용을 담은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 일반병동의 간호관리료 차등제 간호사 배치기준 및 수가체계 개선방안’을 임상간호연구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간호등급제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지난 2021년 12월부터 지난 3월까지 상급종합병원 19개 기관의 간호관리자 73명과 종합병원 16개 기관의 간호관리자 2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상급종합병원 소속 간호사 446명과 종합병원 소속 142명도 설문에 참여했다.

연구팀은 특히 간호등급제의 인력 기준인 ‘간호사 1인당 환자수’가 아닌 ‘근무조별 간호사 1인당 환자수’의 실제 배치 수준을 조사했다. 의료기관 별로 상이한 근무일수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환자에게 제공되는 간호 서비스의 양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다. 

연구 결과, 간호관리자들과 일반간호사들 모두 현행 간호등급제의 인력 배치 수준이 적정하지 않다고 답변했다. 간호사 배치 수준의 적정성을 물었을 때, 상급종합병원 간호관리자 중 80.6%가, 일반간호사 중 89.7%가 적정하지 않다고 응답했다. 종합병원의 경우 적정하지 않다고 답변한 비율이 간호관리자는 86.2%, 일반간호사는 82.4%였다.

이에 연구팀은 간호등급제 1등급 기준을 상향 조정하고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에 같은 배치 등급 체계를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구팀은 “환자 중증도 증가와 평균 재원일수 감소로 간호업무량이 증가했으므로, 이에 따라 현행 1등급 기준을 상향 조정할 필요가 있다”며 “간호관리자와 일반간호사 대다수가 현 간호사 배치수준이 적절하지 않다고 평가했으며, 실제 배치 수준과 적정 배치 수준에 차이를 보인 점도 상향 조정의 필요성을 뒷받침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1등급을 근무조별 간호사 1인당 환자수 6명으로 제안한다”며 “5등급을 최저등급으로 정하고 의료법 상 간호사 1인당 입원 환자 2.5명을 근무조별 간호사 1인당 환자수로 환산했을 때 약 12명인 점을 고려해 5등급을 1:12로 정하고 이를 초과하면 ‘등급 외’로 구분해야 한다”고 했다.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의 등급체계도 통일해야 한다고 했다. 연구팀은 "일부 종합병원의 경우 환자의 간호필요도가 상급종합병원 보다 높으므로,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의 등급체계를 통일할 필요가 있다"며 "이는 종합병원에서 1등급을 선택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간호관리자와 일반간호사가 판단한 적정 배치수준이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에서 유사한 점을 미뤄봤을 때, 동일한 배치등급 체계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기사원문: 간호등급제 실효성 제고 위해 간호 인력 배치 기준 상향 필요 :: 청년의사 :: docdocdoc.co.kr

김주연 기자

다음글 (2022.09.21) "간호사가 뭔데 판단, 주치의 불러" 응급실 난동. 데일리메디.
이전글 (2022.09.06)"8년차 간호사가 채용 면접관으로" 보수적이던 대학병원들, MZ세대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