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댓글 내용을 남겨주세요. 최대 글자수를 초과하였습니다. 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권한이 없습니다.

(2022. 04. 18) "그 병원 좋더라" 치료후기, 알고보니 뒷돈…불법의료광고 286건 적발. 뉴시스.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22.04.26
  • 조회수 : 732

(2022. 04. 18) "그 병원 좋더라" 치료후기, 알고보니 뒷돈…불법의료광고 286건 적발. 뉴시스.


2~3월 집중 단속…"시정·형사고발 등 조치"
인플루언서 등 비의료인 광고 85.7% 차지
블로그 83.6% 최다…'협찬' 고지 역시 불법


블로그, 카페,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에서 많은 구독자를 지닌 '인플루언서'가 대가성 치료경험담을 올리거나 온라인상 비밀댓글·쪽지을 통한 환자 알선 등 불법 의료광고 286건이 보건복지부(복지부) 단속 결과 적발됐다.

복지부는 이번 조사를 통해 불법 의료광고 등 의료법 위반 소지가 있다고 확인된 의료기관 등에 대해서는 관할 보건소에 시정명령과 행정처분, 형사고발 등 조치를 요청할 계획이다.

복지부와 의료광고 자율심의기구는 지난 2월3일부터 두 달 간 집중 단속을 실시한 결과 415건의 치료경험담 중 위법성이 크거나 위법 정황이 높은 286건을 적발, 지자체에 조치를 요청했다고 18일 밝혔다.

복지부는 이번 단속에서 의료인 또는 의료기관이 실시하는 의료광고 외에 입소문 '바이럴' 마케팅에 활용되는 비의료인 의료광고를 집중 점검했다.

비의료인이 의료행위를 광고하거나 비의료인을 통해 치료경험담 광고가 이뤄진 경우가 245건(85.7%), 의료인 등이 실시한 의료광고 중 의료법이 금지하는 거짓·과장된 내용, 다른 의료기관과의 비교, 불분명한 방법으로 가격할인 등을 표시하는 경우 등이 41건(14.3%)으로 나타났다.

광고 매체별로는 블로그가 239건(83.6%)으로 가장 많고 유튜브 16건(5.7%), 인스타그램 13건(4.5%), 카페 9건(3.1%), 의료광고 플랫폼 9건(3.1%) 순으로 위반 건수가 많았다.

의료지식이 없는 비의료인의 경우 개인의 경험을 공유하기 위한 목적으로 의료기관 만족도 등을 후기로 남기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대가를 받고 광고를 목적으로 불특정 다수가 열람할 수 있는 게시물을 올리고, 의료기관이나 의사의 명칭이 특정 가능하거나 전문적인 의료행위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 경우 의료법 제56조 1항을 위반하는 비의료인의 의료광고로 볼 수 있다.

환자 유인·알선은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과 의료인 자격정지 2개월 처벌을 받는다. 거짓·과장광고의 경우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과 1~2개월간 의료기관 업무정지 대상이다.

고형우 복지부 보건의료정책과장은 "온라인 의료광고 사전심의 확대 및 모니터링 강화 등 제도개선도 꾸준히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기사원문:  "그 병원 좋더라" 치료후기, 알고보니 뒷돈…불법의료광고 286건 적발 :: 뉴시스 :: newsis.com

이연희 기자




다음글 (2022. 04. 28) 간호 공무원 공채시험 30일 실시…코로나로 한달반 앞당겨. 연합뉴스.
이전글 (2021. 09. 26) 서울아산병원, 직군별 VR 교육 프로그램 만든다...환자 대상 훈련...